라라윈 연애질에 관한 고찰 : 상대방이 나를 좋아하는지 알아보는 방법
가끔은 나를 보며 지어주는 미소인지 대민지원적인 미소인지도 모르면서도 미소 한 번에 혹시 나를 좋아하나 싶어 기분이 좋아지기도 하고, 어느날은 눈이 마주친 것 같은데도 모른척 고개를 돌리는 것에 나를 싫어하나 싶어 속상해지기도 합니다. 상대방이 나를 좋아하는지 알아보는 방법 중 하나는 "거리" 입니다.
심리적 공간
이런 상황에서 다음 정거장에서 한 명이 올라탔는데, 이 넓은 자리를 두고 내 옆자리에 앉는다면?
몹시 불편하고, 전용칸 같아 행복했던 기분이 잡치면서 불쾌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만의 심리적 공간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지하철, 버스에서 뿐 아니라, 강의실에서, 긴 의자에서도 친한 사이가 아니라면 가능한 멀찍히 떨어져 앉곤 하는 것이 단순히 상대방과 안 친하기 때문만은 아니었던 것 입니다. 지하철이나 강의실이 내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내 주변 반경 얼마 이내는 개인에게 "심리적 1차 공간"인 셈 입니다.
이 심리적 1차 공간에 누군가 들어오는 것은 누구나 불편한데, 좋아하는 사람의 경우는 심리적 1차 공간을 벗어나면 기분이 상합니다. 친구인데 내 옆자리를 두고 멀찍히 앉거나, 나는 상대와 친하다 생각했는데 나와 멀찌감치 자리를 잡으면 서운한 감정이 듭니다.
그래서 상대방 가까이에 앉았을 때, 상대가 불편해 하는지 반가운 기색을 보이는 지에 따라서도 나를 어떻게 여기는지 쉽게 알 수가 있습니다. 바로 옆자리에 앉자, 일어나서 자기 혼자 앉을 수 있는 곳으로 옮겨가 버렸다면... OTL
심리적 거리
"거리"를 통해 상대의 마음을 알아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한 학자도 있습니다.
미국 인류학자 에드워드 홀은 인간관계의 거리를 친밀한 거리(45.7cm 미만), 개인적 거리(45.7∼1.2m), 사회적 거리(1.2∼3.7m), 공적인 거리(3.7m 초과) 등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범주 안에서 가까운 거리와 먼 거리의 차이를 구분했습니다.
이 거리는 상대와 함께 서 있을 때 더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상대와 이야기를 하다보면 누군가는 점점 더 다가와서 달라붙고, 누군가는 점점 한 걸음씩 빼며 거리를 유지하려고 할 때가 보입니다.
에드워드 홀 박사가 분류한 것에 따라서 보자면 45.7cm (대략 여자 어깨폭이 40cm, 남자 어깨폭이 50cm쯤 됨. 즉, 사람 한 명 들어갈 거리) 이내에서 이야기를 나누면 상당히 친밀한 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안 친한 사이에서 자꾸 가까이 와서 이야기를 하면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게 몸을 뒤로 빼면서 일정 거리를 유지합니다. 너무 좁은 만원 지하철이나 시끄러워서 귓가에 소리지르지 않으면 안되는 특수상황을 빼고는요..
따라서 여럿이 빙 둘러서서 이야기를 한다거나 우연히 마주치면서 이야기를 하는데 둘 사이에 사람 두어명은 지나갈 거리를 남겨놓고 서서 이야기를 하는 경우에는 상대는 나를 좋아하지 않는거죠... ㅠㅠ (사람 3명 이상 지날 수 있는 거리라면 확실.)
라이투미 (Lie to me)의 칼 라이트만 박사를 보면 때때로 남녀 둘을 보며 불쑥 "저 둘은 불륜이야." " 저 둘이 사귀는 사이군." 이라며 알아채곤 하는데, 라이트만 박사가 아니라 해도, 남녀가 붙어있는 거리를 보면 관계가 보입니다. 다만 다른 사람들을 볼 때는 누구나 쉽게 '저 둘 사이에 썸씽이 있는거 같은데.' 또는 ' 저 둘은 진짜 어색해 보여' 라면서 잘 보는데, 내 일은 안 보인다는 것이 함정이죠... ^^:;;
내가 좋아하는 사람과 내가 함께 서 있을 때 무의식적으로 서 있는 거리들을 한 번쯤 냉정히 보면 상대방이 나를 좋아하는지 좀 더 믿을만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 거리를 역 이용하는 솔로탈출 방법
- 연애성공하려면 옆자리를 공략하라
고 하는데, 실제로 틈나는 대로 옆자리를 꿰차고 앉는 것은 호감 증가에 상당히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특히나 술자리, 극장, 단체 모임 등에서 옆자리를 자연스레 차지해 버릇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람의 심리적 특징 중 하나가, 상황을 바꿀 수가 없으면 마음을 바꾸어서라도 불편함을 해소하려고 든다고 합니다. 가령 갑자기 낯선 사람과 파트너가 되어 같이 돌아다니며 일을 해야 되는데, 안 친한 사람과 한 차에 둘이 타고 있는 것도 불편하고, 자리도 근처에 앉는 것도 불편하지만, 그 사람과 계속 같이 있어야 하는 상황이면 "파트너니까 잘 지내야겠다." 라면서 생각을 바꿉니다. 자신이 선택한 룸메이트가 아니라 학교 기숙사에서 배정된 룸메이트라해도 낯선 사람이지만 한 공간에서 계속 얼굴을 봐야하니 상대를 1차 공간에 들어와도 좋은 편안한 사람이라고 생각을 바꿉니다.
마찬가지 요령으로 좋아하는 사람과 자꾸만 근처에 있노라면, 상대방은 "심리적 1차 공간"에 들어오지 않으면 서운한 좋은 사람으로 생각을 바꿀 수도 있다고 합니다.
좋아하는 사람과 물리적 거리를 좁힐수록 심리적 거리도 좁혀갈 수 있나 봅니다.. +_+
©서른 살의 철학자, 여자(lalawin.com) 글을 퍼가지 마시고 공유를 해주세요.
불펌 적발 시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불펌 적발 시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걷다보면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오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군요^^
저녁노을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ㅎㅎ사람의 심리...잘 알면 연애도 성공할 수 있지요.
잘 보고가요.
+요롱이+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흥미롭게 너무 잘 보구 갑니다..!
새로운 한주의 좋은 아침이네요..^^
아무쪼록 성과있는 한주 되시기 바래요!!
⎿ 라라윈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감사합니다~ ^^
즐거운 하루 되세요~
수별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라오니스님 블로그에서 타고 들어왔어요ㅎ
에드워드홀의 인간관계의 거리분류 요거 교양시간에 배웠던 것 같은데
다시 보니 반갑네요ㅎㅎ
⎿ 라라윈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정말 흥미로운 이론인 것 같아요~~~ ^^
통통이21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옆자리에 가서 앉고 싶은데....앉을 옆사람이 없어요 엉헝엉 ㅠㅠ
이럴땐 어째야 하나요~~ㅠㅠ
⎿ 라라윈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ㅠㅠ 우선 사람을 먼저 찾아야겠네용....
⎿ 모솔 28년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제 옆자리 비어 있습니다
근데 정말 통통한건 아니져? ㅋ
PinkWink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그렇죠... 좋은 사람 근처에 있고 싶은 마음^^
그게... 저절로 그렇게 되는 때가 있더라구요.. ㅎㅎㅎ^^
드자이너김군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오~ 요런 신비한 심리가 숨어 있군요.+_+ 생활의 지혜가 되겠는데요~ㅋ
⎿ 라라윈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좋아하는 사람 말고도
절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한 사람들과
무의식적으로 서 있을 때 거리를 보면서 추측할 때 유용한거 같아요~~ ^^
Sakai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심리학책에서도 비슷한 내용을본것같습니다
⎿ 라라윈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저도 책에서 넘 잼있어서,
이걸로 좋아하는 사람 마음 확인할 때 쓰면 좋을 것 같단 생각이 들었어요~~ ^^
mark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이제 더 이상 나를 좋아하는 여자는 없는 것 같다. ㅠ.ㅠ
아내가 있지 않으냐구요? 이쯤되면 서로 소가 닭보듯 한답니다. ㅎㅎ
⎿ 라라윈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마크님 팬들이 많은걸요~~~ +_+
⎿ 모솔 28년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아내도 없는데 날 좋아하는 사람도 없는 1ㅅ
음...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소매치기는 만인의 연인이군요. 난 가까이 하고 싶지 않은데,,,
⎿ 라라윈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소매치기야 말로 1차공간에 들어오면 제일 싫은 사람 대표인것 같아요~~~
⎿ ㅋㅋㅋㅋㅋ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아놔 소매치기 ㅋㅋㅋㅋㅋㅋ
혹기사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훗 이거 괜찮군여
심녀랑 제 거리 좀 재봐야 될듯 ㅋㅋ
헤헤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그런거군요. 서로 함께 걸을 때는 저런 거리가 덜 적용되는 거 같은데 서서 잡담을 나눌 때는 확실히 그런 거 같아요. 나이가 들수록 내 공간을 더 확보하고 싶어하는 거 같기도 하고요. 어릴 때는 친구들끼리 어깨를 맞댈 정도로 걸어다닌다든가 팔짱이나 어깨동무 등을 하고 다니는 게 편했는데 어느 순간 조금씩 친한 사람들과도 같이 다니면서도 내 공간을 확보하다보니 점점 그렇게 공간을 확보하고 자잘한 스킨쉽이 없는 상태로 다니는 게 마음이 편해지는 듯.
님이 말한 것처럼 친해지고 싶을 때 다른 사람의 공간으로 스며들듯 들어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네요. 그런데 이성의 경우에는 좋아하니까 오히려 쑥스럽고 자꾸 의식이 되어서 거리를 두게 되고 이성으로 안 보이니까 편해서 가까이 수다 떨며 걷게 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아요.
⎿ 오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설득력있음!!!
축복받는야베스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좋은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퍼갈께요^^
⎿ ㅉㅉ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아직도 이런 댓글 다는 사람이 있네 ㅉㅉ
요즘 저작권법 무서운거 모르나
펌질은 이제 그만
이런거 맘에 들면 링크 퍼가시오 ㅉ
비온다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비오는데 이런 글 읽으니 외롭네
내 옆자리로 오시오
여자사람 대환영 ㅋㅋ
비공개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좋아하는사람이있는데 , 아직학생이라서 어깨를부딫혀봐도 상관안쓰네요 ㅠ
ㄹㄹ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근데 공간으로 아는거 신기하네.. 가까운 공간에 들어왔을때 어쩐지 즐거운 애들은 내가 좋아하는애들이 맞는듯. 근데 묘하게 레알친한친구나 가족이 그정도로 가까이 오면 그다지 좋진않은데.. 뭐지
ㄹㄹ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새끼손가락같이 보일락말락 눈에 안띄는데다 반창고 붙이고 가보슈. 진짜 좋아하는사람이면 전신스캔하다가 그런 사소한거라도 금방 눈치챔
한국인에게는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한국인 정서에는 안먹히는 이론이다. 한국인들은 좋아할수록 더 다가가지 못하는 심리를 가진 소극적마인드가 많다. 서양여배우의 섹시함과 한국여배우의 섹시함이 동떨어진 차이를 보이는 것도 문화와 역사가 다르기 때문이다. 서양연구결과는 서양에서만 통한다.
계롬이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저도 그 맘을 알죠 힘내세요!!
은혜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궁금한게 있는데요~그럼 남자여자 모두좋아하는데
사귀기 싫타는건 몬가요ㅠㅠㅠ제발
답변 부탇드려요♡>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