뭔가 하고 보니 사탕입니다.
"선생님 덕분에 제가 학교에서 그리기 대회 은상 받았어요.. 고마워요.."
학원은 사교육 기관이다 보니, 어머니들의 치맛바람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아이가 그림실력이 확확 느는 것은 아이가 원래 재능이 있는 덕이고, 아이가 실력이 지지부진하면 무조건 선생탓인 곳 입니다.
그러다 보니 "선생님, 고마워요"라는 말보다는
"선생님 왜 아이가 이렇죠? "라는 따지는 말을 듣는 날이 더 많은 곳 입니다.
학원강사는 월급은 별 볼일 없지만, 아이들을 가르친다는 보람과 사명감이라는 보상이 커서 하는 일 입니다. 그런데 어머니들이 장사꾼 취급을 하시며 '너 오늘 잘걸렸다'는 자세로 몰아붙이는 날에는 '내가 이걸 왜 하나' 하는 회의가 몰려옵니다.
그러나 반대로 "고맙다"는 말과 "선생님덕분에 아이가 많이 좋아졌어요"라는 말 한마디를 듣는 날이면 뿌듯함에 가슴이 벅차오르고,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결의를 하게 됩니다.
학원은 별도의 비용을 들여 따로 가르치는 곳이다 보니 본전생각을 많이들 하십니다.
물론 누구나 돈을 들이면 그 만큼의 값어치를 하길 바라지요.
그렇다면 선생을 닥달하고 피곤하게 몰아붙이기만 하지 마시고, 칭찬도 주세요.
"이거 왜 안했냐 저거 해라" 하시며 요구사항이 많은 어머니들께는 요구하는 만큼만 딱 해드립니다. 귀찮게 하시니까 입이나 막자는 생각에 억지로 하게 되는 것이지요. (선생자격이 없다 하실지 모르겠지만, 선생이기에 앞서 사람이다보니 고마워는 할 줄 모르고 늘상 서운해 하고 화만 내는 분께는 이렇게 대하게 됩니다...ㅜㅜ) 하지만, 고마워하고 믿고 맡겨 주는 분께는 더욱 더 많이 해 드리게 됩니다. 인정해 주는 만큼 하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사람은 자신을 알아주고 인정해 주는 사람을 위해서는 목숨도 내 놓을 수 있다고 합니다. 목숨까지는 아니어도 내 수고를 알아줄 때 더욱 노력하고 수고하게 되는 것은 누구나 마찬가지 일 것 입니다.
이 것은 비단 학원에서 뿐만은 아닐 것 입니다.
택시를 탈때도 '내가 돈 냈으니 너는 당연히 잘 데려다 주어야지'하면 딱 그만큼의 서비스만 받지만, "기사님 덕분에 제가 빠르고 편하게 올 수 있어서 정말 감사해요"라고 그 분께 감사하고 수고로움을 인정해 드리면 그 이상의 서비스를 받습니다. (택시비가 덜 나오도록 빠른 길로 빠르게 가주시는 경우가 많았고, 택시비 할인을 받은 경우도 많았습니다...^^;;)
돈을 들이고 본전 이상을 얻고 싶으시다면, 상대를 인정해 주시고 칭찬해 주세요.
그러면 원래 받을 것보다 그 이상의 것을 얻으실 것 입니다.
'생활철학 > 일상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머니같이 편들어주기가 해법일 때도 많다. (6) | 2008.08.08 |
---|---|
말 한마디에 음식맛이 바뀌는 거 아세요? (103) | 2008.02.20 |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 흥, 거짓말! (42) | 2007.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