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라윈 일상 이야기 : EBS 스페이스 공감 축소할 수 밖에 없던 진짜 이유, EBS 수신료 70원
우선 가장 중요한 사실 하나는 우리가 내는 수신료 중에서 EBS가 받는 것은 3% 70원을 받습니다. 3%도 반올림해서 3%이고, 2.8% 정도 받습니다. 우리가 내는 TV 수신료 배분률은 이렇습니다.
KBS 91%, 한전 6%, EBS가 반올림해서 3% (실제로는 2.8%)
EBS는 2011년에도 어려움을 호소하며 수신료 배분을 늘려달라는 요청을 한 바 있습니다. 당시 EBS가 요구한 것이 15%였고, 현재는 EBS는 해외 공영방송 수준인 22%까지 올려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건 어디까지나 EBS 혼자 꾸는 꿈일 뿐, 현재 EBS는 법으로 정해진 TV수신료 3%조차 못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가 내는 TV 수신료 배분율 : KBS 91%, 한전 6%, EBS 3%
EBS에 2.8% 밖에 지급하지 않은 것은 국정감사에서도 문제로 제기된 부분입니다. 법적으로 3% 주라고 되어 있는데, 그나마 3%에서도 벼룩의 간을 내어 먹으며 0.2%를 빼고 준 것입니다. KBS가 EBS에 지급하는 수수료는 나몰라라하는 가운데, 돈 대신 걷어주는 한전에 주는 수수료는 매년 조금씩 올라가고 있습니다.
대체 KBS는 돈을 어디에 쓰길래 매일 수신료가 부족하다고 하는가?
급 관심이 생겨 찾아본 결과, KBS 지출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다름 아닌 인건비였습니다. 매년 제작비용은 감축되고 있으나, 인건비는 올라가고 있습니다. 2013년 12월 방통위에서 허가 유효기간이 만료된 KBS를 다시 허가내 주는 조건에도 이 부분이 들어가 있습니다. KBS는 재무구조 적자 전환에 따른 자체 경영 합리화를 하라고 하였습니다. 수신료 인상을 전제로 한 향후 적자예산 편성, 인건비 비중 가중 등 KBS 자구 노력 부족을 지적받았습니다. 노력요함은 수우미양가의 "가"에 해당하지요.. ;;;
최문순 강원도 도지사님이 게재한 2007~2009 KBS 운영 제작비 및 인건비 증감 현황표를 보았습니다.
2007~2009년간 KBS 운영 제작비 및 인건비 증감 현황
표를 보면, 시청자 사업이나 방송제작비를 줄였을 뿐, 인건비는 아주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제가 KBS에서 일하는 사람은 아니니, 내부 사람들은 그들 나름의 입장에서 할 말이 더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저는 수신료 강제 징수 당하던 국민의 한 사람으로 보았을 때, 기껏 돈을 걷어가서는 시청자를 위한 프로그램 만드는 돈은 계속 줄이고 월급은 늘려놓고 수신료 올려달라고 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리고 수신료를 올려야 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수신료를 올리면 EBS 지원도 확대하겠다고 하더군요. ㅡㅡ; 음.. 수신료 100원 올리면 EBS에 10원이라도 더 줄려나요? 지금 2610원 중에서 73원 주고 있는데...
EBS는 무슨 돈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EBS 스페이스 공감을 꾸렸을까?
예전에 EBS 스페이스 공감에 갔다가, EBS 스페이스 공감이 무료라는 이야기를 듣자마자, 제가 푼수없이 물어본 적이 있었습니다.
"대체 무슨 돈으로 이걸 무료로 운영하세요? 입장료라도 받아야 되는 것 아니에요?"
정말 궁금했어요. 그랬더니 수익이 없이 다른 수익으로 EBS 스페이스 공감을 운영하는 것이 힘이 들기는 하지만, EBS의 공영방송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자부심으로 어떻게든 운영해 나가려고 하는 것 같았습니다. 그냥 지나는 마지막 말로...
"어렵죠... 그래도 저희가 이렇게 하지 않으면 누가 하겠어요? 국민들도 이런 사실(EBS는 수신료 3% 70원 받는다는 것, EBS 스페이스 공감 같은 무료 예술 공연, 예술영화제 등을 계속 하고 있다는 것)을 좀 알아주셔야 되는데...."
라며 씁쓸하게 대화가 끝이 났습니다.
어렵다.. 어렵다.. 그냥 담당자가 다 하는 말일 수도 있으나, EBS 담당자님의 말씀은 그냥 허튼 투정처럼 들리지 않았습니다. EBS 건물에서 느껴지는 것이 돈 들어가는 인테리어는 못 하더라도 기존의 시설을 최대한 닦고 정비해서 깨끗하게 쓰려고 하고 있다는 인상 때문이었습니다.
돈 없다고 징징거리기부터 하는 것이 아니라, 할 수 있는데 까지 우선 해보고 있는 것 같아보였어요.
EBS 건물은 KBS나 SBS 등과는 비교도 안되게 작고 허름한데, 정말 깔끔했어요. 시설 자체가 좋은 것은 아닌데, 관리하는 사람들의 손 때가 묻은 흔적이 많이 느껴졌습니다. EBS 스페이스 공감도 시설 자체가 으리으리한 곳은 아니었습니다. 들어가는 입구와 나오는 문도 따로 없고 좁아요. 나무로 된 마룻바닥에 옛날 극장 의자처럼 두툼한 의자였어요. (그래서 푹신해서 좋긴 했습니다 ^^) 그런데 마룻바닥을 정말 광 나게 닦아놓아서 손질 잘 된 반들반들한 윤이 났습니다. 좁은 입구에도 정말 깔끔하게 정리가 되어 있고, 포스터 등이 잘 관리되어 있었습니다. 주차장도 그랬어요. 침침하고 낡았는데 깔끔했어요.
돈이 들어가는 리모델링이나 이런 부분은 어쩔 수 없더라도 사람이 할 수 있는 관리에서는 최선을 다해 깨끗하게 잘 사용하고 있다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제가 느꼈던 점은 운영예산을 빼기가 어려워도 EBS 스페이스 공감을 꾸려가는 것에 대해 직원분들의 자부심이 무척 크신 것 같았습니다. EBS 스페이스 공감을 직원들 행사에 조차 이용을 못하고, 직원들도 EBS 스페이스 공감의 공연 티켓을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일만큼 공정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합니다. 직원이라해서 혜택이 없고 우리들과 똑같이 인터넷에서 광클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런 말씀을 하면서도 EBS 스페이스 공감에 대한 애정과 긍지가 커보였는데..
왜... EBS 스페이스 공감을 축소한다는 이야기가 나왔을까요..
궁금하면 잠이 안와서 EBS 수입구조를 찾아보았습니다. 여러 자료가 있는데, EBS가 직접 공개한 2010년 EBS 재원구조표가 있었습니다. http://about.ebs.co.kr/kor/other/receipt?tabVal=distortion
TV수신료 70원씩 받아서는 택도 없을 것 같았는데, TV수신료 비중은 6.2%이고, KBS처럼 광고가 어마어마하게 들어오는 것도 아니라서 대부분을 교재 출판에 의존하고 있었습니다. 수신료를 포함해서 방송발전기금과 특별교부금을 다 합쳐도 EBS 운영비용의 30%도 안 되는 것 같습니다.
KBS도 비슷한 이야기를 하기는 합니다. 수신료가 KBS 수입구조에서 고작(?) 40%라고 합니다. 고작 40% 5,689억이고, (EBS는 159억), 상업적인 광고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고 말을 합니다. 상업적 광고 수익이 약 8,500억원 정도 되는 셈 입니다. (EBS는 광고 290억원, 책 1,000억원)
KBS도 나름의 사정이 분명히 있기는 하겠지요.
그러나 2007년 이전부터 2013년 12월 말까지도 인건비 문제나 방만한 경영으로 끊임없이 국정감사나 방송통신위원회 재허가 심사에서도 지적을 받고 있다면, 제가 잘 모른다 해도 뭔가 살림을 알뜰하게 잘 꾸리고 있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저의 소소한 바람은 제가 내는 TV수신료는 미약하지만, 그 티끌을 합쳐 5689억이나 받고 있으면... 좀 잘 좀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TV 수신료 배분율을 정할 수 있다면, EBS에 돈 좀 더 줬으면 좋겠어요.
저도 정말로 EBS 보면서 수능 준비했던 사람 중 한 명이라... 무료 EBS 도움 많이 받았거든요. 앞으로도 공부하는 학생들이 무료로 좋은 교육방송 볼 수 있도록 EBS에도 TV수신료 좀 나눠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