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라윈의 연애질에 관한 고찰: 연애를 못하는 건 너무 앞서가는 상상때문? -솔로탈출
상상을 해보니 좋고 행복했을 경우에는, 상대방을 더욱 좋아하게 되고, 상대방과 더 가까워지고 싶어지고 연애에 한 발 다가서게 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상상시스템은 한 번 가동되고 끝이 나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 가동됩니다. 처음에는 상대와의 미래가 핑크빛으로 보여서, 좋아지고 사귀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해도, 중간 중간 안 좋은 모습을 보며 나쁜 상상을 하게 되는 경우 핑크빛 상상을 잿빛으로 만들면서 연애에 다가설 수 없게 만듭니다.
호감이 가는 상대가 생겨서, 상대와 함께하는 상상에 즐거웠던 상황이라도,
상대의 말이나 작은 단서 한 가지에 또 다른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것 입니다.
가령 결혼한 여성이 친정집에 가는 이야기가 나왔을 때,
"결혼하고 친정집 자주 가면 눈치보이는거 아냐?"
하는 말을 하는 남자를 보면,
'이런 남자와 결혼하면 집에는 자주 가기 힘들겠다.이런 스타일은 안돼..'
하며, 순식간에 그 남자와 결혼하면 어떨지를 그려보는 것 입니다.
평소 친구를 무척 좋아하고, 친구간의 의리를 중시하며, 친구와의 친목도모가 잦은 남자를 보면, 그러한 인간성 좋고 대인관계 좋은 매력에 끌린다 하더라도, 그와 사귀었을 때를 상상해보며 고개를 젓게 됩니다.
'저런 남자랑 사귀면 피곤하겠다.. 매일같이 친구들이랑 술 먹고 있을텐데... 어휴...ㅜㅜ
그러면 분명 술값도 엄청 쓸거고, 저런 사람이랑 결혼하면 술값때문에도 엄청 싸우겠다...'
하면서 혼자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상상해보며 지레 걱정하는 것입니다.
물론 상대가 좋은 면을 보일 때도 이런 상상은 합니다. 가령 남을 잘 배려하는 모습을 보면,
'저런 남자는 여자친구한테 참 자상하게 잘 해주겠다... 저런 사람이랑 사귀면 좋겠다..'
하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문제는 이렇게 좋은 모습에 대한 상상의 힘보다, 나쁜 모습에 대한 상상의 힘이 더 크다는 겁니다.
사람들이 어떤 사람의 인상을 평가할 때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애를 쓰긴 하지만, 수많은 긍정적인 정보가 있다해도 한 두가지 부정적인 정보를 더 크게 받아들이게 되는 부정성 효과(Negativity Effect) 때문인가 봅니다. 그래서 아무리 그 사람이 괜찮고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어도, 몇 가지 눈에 띄는 안 좋은 점을 발견하면 금새 앞서 생각한 좋은 상상들은 사라지고, 저 사람과 사귀면 힘들겠다는 생각을 더 크게 하게 되는 겁니다.
체가 지나치게 촘촘하면 다 걸러지고 남는 것이 없는데...
결국은 "난 눈이 높지 않아. 그냥 잘 맞는 사람을 찾을 뿐이야......." 라고 말은 하지만,
저런 매 순간의 시험에서 통과하는 사람을 찾으려고 하는 것이야 말로
진정 눈이 높은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너무나 촘촘한 생각의 망으로 상대를 걸러내고 있으니 다 걸러져서 남는 사람이 없나봅니다.
저 역시 결점많고,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 "저 여자와 사귀면 이런 점은 좋겠지만, 이런 점은 힘들겠다.." 싶은 면이 많은 사람일 겁니다. 그러니 저 역시 저와 비슷한 생각으로 걸러내고 있는 사람들의 체에 걸려, 더욱 연애가 힘들어지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문제를 파악했다해도, 상대방의 결점을 감싸안아줄 너그러움도 없고, 상대방의 마음에 안 드는 점을 조절하고 맞춰보려는 노력이나 용기도 없으니 더욱 큰일입니다. ㅜㅜ
그저 상대방의 안 좋은 특성이 눈에 하나씩 띌때면,
그런 부분을 감당할 자신이 없어 한 걸음 물러서는 것만 잘 할 뿐 입니다.
연애를 하려면 지나치게 예민한 미래예측 상상 시스템을 잠시 작동중지 시켜야 될 것 같습니다....
©서른 살의 철학자, 여자(lalawin.com) 글을 퍼가지 마시고 공유를 해주세요.
불펌 적발 시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불펌 적발 시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백마탄 초인™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므로 끊임없이 사고의 증폭이 확장이 되는게 당연 하지용 ^ ^
가급적이면 긍정의 마인드를~!!!
긍정적 마인드는 공룡도 춤추게 만드는 법~!! ^ ^
아이고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사람의 작은 행동과 사소한 말 한마디로
그 사람의 전체 성격과 인품을 단정해 버리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더라고요
이 글도 그렇고... 이것 참 위험한건데 말이죠.
내 맘도 이렇게 복잡한 만큼 그 사람도 그럴진데
우린 너무 쉽게 단정해버리고 맙니다.
그래서 아까운 사람 많이 놓쳐본 1人이올시다 ^^
두유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완전 공감합니다......어쩜 이리 딱딱딱 글을 잘쓰시는건지 종종와서 구경할게요 ㅎㅎㅎㅎㅎㅎㅎㅎ
상상도 있지만..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이상하게 그냥 한 남자로 보면 참 대내외적으로나 괜찮은 사람도 내가 만나려면
왜 그렇게 귀찮고 거추장스럽고.. 그 사람이 보이는 호의나 호감이 부담스럽게 느껴지는지...
걍 친구로 지내면 좋겠는 사람도 있고...
우선은 연애에 대한 관심이 없으니-_-;; 친구들도 죄다 이상하다 하네요..ㅋ
(사람과 친해지는거는 좋은데.. 막상 누군가와 사귄다! 고만 생각하면 원빈이라도 싫어라 하는 이상한 내 심리..;;)
배리본즈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사람의 마음을 읽을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답도 없는 연애 참 어렵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카라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다녀갑니다~ 벌써 일주일의 절반인 수요일이에요! 행복한 하루 되시고요!
힘내세요~ 아자아자~ 파이팅^^
임현철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좋은 글입니다. 잘보고 갑니다.
달려라꼴찌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예전 발행 못햇던 예전 글들을 요즘 다시 발행하시나 봅니다. ^^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dsfads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반 드 시] [알 아 야 하는] [새 로 운] [영 어][이 론]
우리나라 영어가 이렇게 비효율적인 것은 우리가 배우는 문법이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모두들 그렇게 생각하지만 도대체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를 알 수 없었습니다.
이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ㄷ ㅏ][음][ㅋ ㅏ][페]
[이 제 영 어 의 의 문 이 풀 렸 다]로 들어가 보시기 바랍니다.
딱 저네요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원래는 안 그랬는데...
몇 번의 쓴 맛을 본 후... 사람이 방어적으로 되더군요.
다시는 상처입지 않으리라...그런 마음.
그러다보니 어떤 사람을 봐도...
저 사람은 이래서 안돼... 저래서 안돼... 저 사람은 틀림없이 나를 사랑하지 않을거야...
착각하지마... 착각하지마.. 이러면서
최악의 상황만을 미리 생각하며 방어막을 쳐요.
이래가지고는 올 사람도 못오겠죠...ㅠㅠㅠ
고쳐야된다는 걸 알면서도 어렵네요.
동시에 콩깍지가 씌이는 특별한 기적이 일어나지 않는한...
저에게 연애는... 어려울듯합니다.
보름달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오오.. 제 경우는 두 가지가 다 해당되네요.
만나는 남자는 아직 제 마음의 준비가 되지 않았는데도, 이미 연애모드에 빠져들어 저를 곤란하게 하고,
저는 그런 남자의 모습도 마음에 안 들고, 그 사람의 사소한 단점들이 자꾸 제 마음 속의 체를 통과하지 못해서 괴로워하고요.
연애는 어려운 것 같아요.
마츠준여친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한국남자들은 좀 마마보이라 그런지 왕자병이 심한 거 같습니다.
봐 주는 것도 한 두번이지
우물 안 개구리라 그런가 ?? 앞서 상상을 해서 상대방을 당황하게 만드는 건 정말 고쳐야 할 거 같네요 .
이쁜댕이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정말 맞는거 같아효..ㅠㅠ
여자29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마자마자
f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그래도 여자의 직감은 무서워요 ㅋ
그냥 다 상상이겠거니~넘어가기만해도 안되겠죠
적당한 컨트롤 ㅋㅋ
-_ㅡ^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라라윈 님
슬프고
복잡하다.
그런대 화난다.
행복해요..(나 바보 아님..)
수정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받아들일 수 있는 단점만 받아들이는 것이 정답이죠 :)
moong8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마자요...저도 이것땜에 그런것같아요.흙
완전공감ㅠㅠ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사소한 단점때문에 정말 좋은 사람을 놓치는 일ㅠㅠㅠ
휴.이젠안그래야죠.ㅠㅠ
ThankU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사람은 이기적이라 그런가봅니다. 좀더 괜찮은 좀더 높은 좀더 좋은 것만 바라니까요.
서로 좋아하고 만족하는 사람만날확률이 얼마나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