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엔 별님께서 멋진 책을 선물해 주셨습니다. ^^
'제5한반도 물결 피플니즈' 로, 인맥관리에 대한 휴먼인테크를 다룬 책 입니다.
하늘엔 별님~ 책 보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자기계발서를 좋아하기도 하고, 관련 전공이다보니 사람에 관한 책, 사람관리에 관한 책에 관심이 많습니다.
제목과 목차만 보고는 너무나 끌려서 언제 도착할 지 학수고대했습니다. 그러나 기대가 너무 크면 그만큼 실망도 큰 법인가 봅니다. 기대와 달리 좀 불편한 점이 두 가지 있었습니다.
아마도 개인의 호오가 많이 갈릴 것 같은 부분인데, 착한 인테크와 나쁜 인테크로 나누는 부분이 좀 거슬립니다.
이 책의 대상이 아동은 아닐 듯 한데, 아동들에게 이야기하는 듯한 느낌의 착한 인테크와 나쁜 인테크의 대결구도가 약간 불편했습니다. 사람간의 관계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진심이겠지만, 인테크라는 단어 자체가 사람을 만나는 것을 기술과 능력으로 여긴다는 전제가 들어가 있습니다. 전략적인 인간관계라거나, 사업적 관계에 대한 피상적이지만 효율적인 관리법 같은 부분이 포함된다고 느꼈는데, 이것을 착한것과 나쁜 것으로 자꾸 분리해서 아이들 도덕책에서 다루듯 하니, "나쁜 인테크를 하면 안 돼겠구나." 하는 깨달음보다는 교장선생님 훈화같은 지루함이 느껴집니다. (이제는 이런 도덕 윤리적인 것이 순수히 받아들여지지 않고 왜 두드러기 반응이 나오는지....)
또한 좋은 인테크와 나쁜 인테크로 나누는 과정에서 개념이 더 불분명해집니다.
휴먼 인테크 (Human Person Tech) 와 사악한 인테크(Evil Person Tech)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이 단어가 와 닿지가 않습니다.이 부분은 제 전공 탓도 있습니다. 이 분야가 전공분야이다 보니, 단어가 명확하지가 않으면 눈에 이물질이라도 들어간 것처럼 자꾸 껄끄럽게 걸립니다. 전공에서 논문을 쓰기 위해서는 한 단어 가지고 몇 시간씩 논쟁을 하기도 하고, 몇 년을 한 단어의 구성개념 하나를 밝히기 위해서 집착하다 보니, 전공관련 단어에는 좀 예민해지는 것 같습니다. (전공이라고 아는 것은 없으면서 비판의식만 충만....)
그러나 이런 불편함을 차치하고 읽노라면, 풍부한 이야기가 도움이 됩니다.
꼭지별 이야기에 사례를 풍부히 다뤄주고 있어서, 주제별 사례수집에도 도움이 많이 됩니다. 관련 자료 발표하거나 할 때도 아주 유용할 것 같습니다. ^^
순간순간 전공서적을 읽는 듯한 시선으로 보다보니 좀 불편한 점이 있었지만,
편안히 자기계발서를 읽는 마음으로 읽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서른 살의 철학자, 여자(lalawin.com) 글을 퍼가지 마시고 공유를 해주세요.
불펌 적발 시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불펌 적발 시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미자라지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아...인테크의 시대에 사람은 안만나고 전 뭐하고 있는건지...ㅋㅋㅋㅋ
⎿ 따뜻한 카리스마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블로거분들 만나고 계시잖아용^^ㅎㅎ
killerich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인테크라..요즘 세대에 가장 중요한 한가지겠죠^^?.
달려라꼴찌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인테크 시대...공감합니다. ^^
모과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결국 사람이 문제를 풀어 갑까 인테크가 아주중요합니다.^^
jeffian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달을 가르키는데.. 손가락만 보인다는..
주황색 메니큐어가 눈에 띄이네요.. ^^ (죄송합니다.)
하늘엔별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읽느라 고생하셨군요. ^^
복돌이^^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추카합니다.~~ 선물은 언제나 행복하게 하죠..^^
주황색(?!) 손톱이 인상적인데요..^^
오러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테크..라는 말이 인위적이고 기술적인 느낌이 있어서 좀 그렇지만..
재테크도, 인테크도 결국은 좋은 의미의 말이고
지켜갈 것도 많을테니까요~
저도 책 한번 보고 싶네요.
나인식스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엇 라라윈님도 이책을 받으셨군요~^^
만두의전설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인위적이고 작위적인 인간 관계를 만드는 것은 문제가 있겠지만, 책에서 그러라고 하진 않은 것 같네요.ㅎㅎ
인간관계라,,, 글세요. 저는 그저 제 주변에 폐만 안 끼치는 걸로 만족합니다^^
rinda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다들 졸업 하고 새로운 일을 하면서는 바빠지니 못 만나게 되더라고요. 연락도 뜸해지고.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인간 관계가 정리되었습니다 ㅎㅎㅎㅎㅎ
라라윈님의 글을 보니 사람들을 잘 챙겨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친절한민수씨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그러게요~ 강남쪽에는 사교클럽이 요즘 유행이라고 하더라구요 ㅋ
친절한민수씨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그러게요~ 강남쪽에는 사교클럽이 요즘 유행이라고 하더라구요 ㅋ
드자이너김군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아아.. 자기개발 서적은 정말 졸리다는..ㅋ
근대 지인을 많이 아는것이 정말 큰 힘이 되더라구요.^^
건방진연이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요즘들에 크게 느끼고 있는 부분중에 하나 입니다. 인간관계 ㅜ.ㅜ;;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
투유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저도 다음 주 중에 포스팅하려고 하는데 ㅎㅎㅎ
일부러 라라윈님 글 자세히 읽진 않았습니다.
쓰고 한 번 다시 보지요^^
⎿ 답글주소 수정/삭제답글달기
비밀댓글입니다
동림 댓글주소 수정/삭제 답글달기
인간관계. 타인과의 관계에서 온전치 못한 자기 상태. 즉 상처를 치유할 가능성이 가장 크기 때문이지요. 물론 명상과 수양과 같은 자기 노력으로 행복을 느낄수도 있겠습니다만, 대부분의 경우가 타인과의 관계에서 행복이나 치유를 얻지요. 왜냐하면 인간은 그만큼 외로운 존재이고, 그만큼 이 사회가 불필요하게 정보와 말, 그림이 많기도 하니까요.